2018년 3월 21일 수요일

자산관리 RFID Tag 활용법

1. RFID란?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는 주파수를 이용해 ID를 식별하는 SYSTEM으로 일명 전자태그로 불린다.
   RFID 기술이란 전파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을 말한다.
   여기에는 RFID 태그(이하 태그)와, RFID 판독기(이하 판독기)가 필요하다. 태그는 안테나와 집적 회로로 이루어지는데, 집적 회로 안에 정보를
   기록하고 안테나를 통해 판독기에게 정보를 송신한다.
   이 정보는 태그가 부착된 대상을 식별하는 데 이용된다. 쉽게 말해, 바코드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것이다.
   RFID가 바코드 시스템과 다른 점은 빛을 이용해 판독하는 대신 전파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바코드 판독기처럼 짧은 거리에서만 작동하지 않고 먼 거리에서도 태그를 읽을 수 있으며, 심지어 사이에 있는 물체를 통과해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2. RFID Tag 활용 ( 장점 )
   비접촉 인식가능 : RFID 판독기 전파 적용 범위 안에 있는 Tag 동시 인식
   빠른 자료 수집 : 재물조사 시간 단축
     - 바코드 활용 경우와 비교 불가 : 리딩 환경에 따라 수백 ~ 수천 배 차이 가능
   재물조사 운영 관리 비용 절감
     - 빠른 자료 수집을 통한 조사 기간 단축 인건비 절감

3. RFID Tag 활용 ( 단점 )
   비용 : 바코드 라벨 운영의 약 10 ~ 20 비용 필요 ( 부착 자산 재질에 따라 )
   환경 : RFID Tag부착 자산의 보유 위치에 따라 인식 유무 차이 있음
           예. - 차폐재 없이 전도성(금속) 재질의 자산에 Tag를 부착
                - 전파가 투과하지 못하는 재질 뒷면에 Tag 부착
                - 캐비넷 등 금속성 보관함 속에 보관된 자산에 Tag 부착
                - 두개 자산에 부착된 Tag가 밀착 되어 있는 경우 등....

4. Tag 부착 면의 재질에 따른 운영
   전도성 재질 ( 금속류 ) : 차폐재를 활용 하여 Tag를 부착한다.
   비전도성 재질 ( 나무, 플라스틱, 고무 등 ) : Tag를 부착면에 차폐재 없이 부착한다.

5. Tag의 효율적인 운영
   특정 공간에 배치된 자산의 수가 많을 수록 RFID Tag를 활용한 관리 효율이 높다.

6. 관리적인 측면의 Tag운영
   비교적 가치가 높지 않은 다량의 자산 관리에 효과 적이며 자산 가치가 높으며 이동이
   용이하고 소형의 자산에는 가급적 바코드 인식을 통한 관리가 효과적이다.

7. RFID Tag를 통한 관리 방향
   학교의 경우 강의실, 사무실, 실습실, 도서관 등에 RFID Tag를 활용하여 최대의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연구실등 특수 환경의 경우 RFID Tag와 바코드 라벨을 혼용 해서 운영
   하는 것이 효과 적이다.
   일반 기업의 경우는 RFID Tag를 도입 하는데 별다른 제약이 없으며 학교와 같이 특수한
   연구실 등이 있는 경우는 혼용 운영에 대해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자산관리 RFID Tag 활용법

1. RFID란?     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는 주파수를 이용해 ID를 식별하는 SYSTEM으로 일명 전자태그로 불린다.    RFID 기술이란 전파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을 말한다...